변리사로서 독립 개업해, 깨달은 것을 철자해 가고 싶습니다.
테마를 결정하고 일화 완결 형식으로 적어 갈 예정입니다.

  • 제12화

    제11화에서는 기능미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경우 디자인등록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그 기능을 중시한 때에는 실용신안등록의 대상이 됩니다.
    미국에서는 디자인과 실용신안이 모두 특허제도에 편입되어 디자인특허와 실용신안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미국 특허청은 이 둘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실용 특허'는 물품의 용도와 기능을 보호하는 반면(35 USC 101) '디자인 특허'는 물품의 외관을 보호합니다(35 USC 171). 물품의 장식적 외관에는 물품의 모양과 구성, 물품에 적용된 표면 장식, 또는 두 가지가 모두 포함됩니다. 발명품이 실용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물품에 대한 디자인특허와 실용신안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습니다.
    실용특허와 디자인특허는 별도의 법적 보호를 제공하지만, 물품의 실용성과 장식은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조품은 기능적 특성과 장식적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습니다." (https://www.uspto.gov/web/offices/pac/mpep/s1502.html#d0e150263)
    위의 설명은 일본에도 적용됩니다. 기능미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창작한 경우에는 그 기능에 대한 실용신안등록도 함께 출원해야 합니다.
     형태나 구성이 구별되는 발명을 창작한 경우에는 그 형태나 구성에 대해서도 디자인등록을 신청해야 합니다.
    디자인과 실용신안 모두에 대한 권리를 취득한 경우, 침해행위에 대하여 권리를 행사할 때에는 어느 하나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가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제11화

    디자인법은 "이 법에서 '디자인'이란 사물의 형태, 건물의 형태 또는 눈에 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디자인법 제2조 제1항)
    이 "미감"은 무엇입니까? 첫째, 전통적인 장식미가 있다. 실용품 등에 장식을 실시해, 아름답게 보이게 합니다. 이에 대해 제1차 대전 후인 1919년 독일 와이마르에 설립된 조형학교 바우하우스(BAUHAUS)에서 태어난 기능미가 있습니다. 기능미란, 장식을 배제해, 기능만을 추구한 외형으로부터 태어나는 아름다움입니다. 이것이 산업 디자인의 아이디어입니다. 독일의 대표적인 산업 디자이너인 디터 램스는 “Less but better”라는 생각을 제창했습니다. 장식을 배제한 디자인이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한다는 생각입니다. 이 디터 람스 씨의 생각은 조나단 아이브 씨에 영향을 주어 아이폰의 디자인을 낳았다고 합니다.
    디자인등록의 요건으로서, "공업상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창작을 한 사람은, … , 그 디자인에 대해서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다." (법률 제3조 1항) 고 규정하고 있다.이는 디자인 등록 요건으로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야 함을 나타냅니다. 이 「공업상 이용할 수 있다」는, 장식을 배제해, 기능을 추구한 기능미를 가지는 제품이, 디자인등록의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 심사 기준에, 「시각을 통해 미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의 예」로서, 「기능, 작용 효과를 주목적으로 한 것으로, 미감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제3부 제1장 2.4(2)). 「디자인」(다카다 타다시)에 있어서, 이 심사 기준의 해석·운용에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86페이지).
  • 제10화

    제9화에서는, 상표 등록 출원에 대해 설명했습니다만, 이번은 심판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허, 디자인, 상표의 각 출원을 하고 거절사정되어도 거절평가불복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거절평가불복심판에서는 특허, 디자인, 상표 모두 약 7할 전후로 청구가 성립합니다. 이거절평가불복심판에서도 거절심결된 경우 지적재산고등법원에 심결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지만 약 8할 전후에는 심결이 유지됩니다(https://www.jpo.go.jp/resources/report/sonota-info/document/panhu/shinpan_gaiyo.pdf). 이것으로부터, 권리화의 의사가 있다면, 심사 단계에서 거절 사정되어도, 예산이 허락한다면, 거절평가불복심판을 청구하는 의의가 있습니다.
    재판에서는, 제1심으로 패소했을 경우, 제2심(항소심)을 제기할 때에, 대리인을 바꾸는 것도 드물지 않습니다.
    산업재산권(특허, 디자인, 상표)의 출원에 있어서의 심사는, 이른바 제1심이며, 거절평가불복심판은 제2심입니다. 심사로 거절 사정되어 심판을 청구할 때 대리인을 바꾸는 옵션도 있습니다. 다만, 거절평가불복심판의 청구 기간은, 평가의 등본의 송달이 있던 날부터 3월 이내이므로, 대리인을 바꾸는 경우는, 평가의 등본 송달 후, 신속하게 새로운 대리인에게 의뢰할 필요가 있습니다 .
    특히 특허출원의 거절사정에 대한 심판청구에서는 심판청구와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 등의 보정을 할 수 있습니다(특허법 17조의2 제1항 4호). 이 경우 전치심사에서 심리되므로 (동법 162조) 보정의 필요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평가의 등본 송달 후 신속하게 새로운 대리인에게 의뢰할 필요가 있습니다.